• 전체 인구의 35.8%가 토지 소유..1,851만명(2.5%↑)
    • - 20년 대비 45만명 증가한 1,851만명..지목별 소유현황은 임야가 57.7%인 26,813㎢, 전·답·과수원·목장용지 등 농경지가 34.6%인 16,077㎢, 대지가 5.5%인 2,549㎢ 순 / 연령별로는 60대(29.6%), 50대(22.7%), 70대(19.3%) 순
    • 국토교통부(장관 원희룡)2021년 말 기준 토지를 보유한 우리나라 인구는 20201,805만명 대비 2.5% 증가한 1,851만명이라고 밝혔다    

     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자체 등에서 등록한 지적공부 정보를 기초로 전국의 토지소유 현황을 파악한 자료로서, 2007년 처음 공표된 이래 올해 일곱 번째로 공표되었으며,      

      소유구분, 용도지역 및 지목별로 구성된 일반현황을 비롯하여 개인·법인·비법인의 토지소유현황 등 통 39종으로 작성되었다.    

      토지소유현황을 살펴보면,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가 46,445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, 법인은 7,087, 비법인은  7,783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개인의 토지소유 면적은 ‘2046,398대비 0.1% 증가한 46,445로 농림지역이 48.5%22,52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법인의 토지소유 면적은‘206,965대비 1.7% 증가한 7,087로 농림지역 및 관리지역이 58.6%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비법인의 토지소유 면적은‘207,754대비 0.4% 증가한 7,783로 농림지역이 56.5%를 차지하며 녹지지역, 관리지역, 농림지역이 90.3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 비법인 토지의 용도지역별 비율 추이
      ▲ 비법인 토지의 용도지역별 비율 추이
       

      개인의 토지소유현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, 우리나라 전체 5,164만명(주민등록인구) 1,851만 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으며 지목별 소유현황은 임야가 57.7%26,813, ··과수원·목장용지 등 농경지가 34.6%16,077, 대지가 5.5%2,549순으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연령별로는 60(29.6%), 50(22.7%), 70(19.3%) 순으로 토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으며 60대와 80대 이상의 소유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, 50대 이하는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세대별 토지소유현황은 총 2,347만 세대(주민등록세대) 61.7%1,449만 세대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    

      한편, 토지거래 회전율은 면적 기준으로 전국 2.6%를 나타냈으며 시도별로는 세종 5.1%, 경기 5.0%, 충남 3.8% 순으로 토지의 거래가 이루어졌고, 서울은 1.0%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회전율을 보였다.   

     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75일부터 국토교통부 통계누리(stat.molit.go.kr), 통계청 국가통계포털(kosis.kr)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.   

      <>

          

    Copyrights ⓒ 동대문 이슈 & www.ddmissue.com,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
  •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
대표자명 : 이백수ㅣ상호 : 동대문 이슈ㅣ주소 :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로190 201동 505호(전농삼성@)ㅣ 신문등록번호 : 서울, 아04211 ㅣ 신문등록일자 : 2016년 11월 14일ㅣ발행일자 : 2016년 12월 3일ㅣ발행인·편집인·청소년책임자 : 이백수 전화번호 : 02)2247-5234 ㅣ fax번호 : 02)2247-5234 ㅣ 이메일(기사제보) : bsl1952@naver.com ㅣ Copyrightⓒ 2016 동대문 이슈. All rights reserved.